카테고리 없음 / / 2023. 2. 10. 02:41

잘못된 선택, 뒤늦은 후회와 사랑 발레 오네긴 Onegin

반응형

 

후회하는 모습

드라마 발레로 불리는 발레작품 오네긴 Onegin

3막 6장으로 구성된 발레 오네긴은 러시아 낭만주의 시대의 알렉산드르 푸시킨(Aleksandr Pushkin)의 시형식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을 바탕으로 존 크랑코(John Cranko)가 제작했다. 특히 이 작품은 많은 무용수들이 은퇴작품으로 선정했는데, 발레 오네긴은 일반적인 클래식 발레와 달리 감정표현에 집중된 작품으로 드라마 발레로 불린다. 소설에서는 오네긴 시점으로 다루어진 반면 발레작품에서는 타티아나의 시점에서 다뤄졌다. 특히 거울과 편지, 나무 등 다양한 소품이 등장하는데 거울점은 당시 러시아에서 유행하던 점으로 거울 속에 나타난 사람이 미래의 반려자라고 믿었다. 그래서 1막에서는 타티아나의 거울에 등장한 인물이 오네긴이었지만, 3막에서는 그레민 공작이 등장한다. 또 오네긴이 타티아나의 편지를 찢었지만, 극의 마지막에서는 타티아나가 편지를 찢는 등 존 크랑코는 뒤바뀐 상황이나 감정들을 다양한 소품들로 표현했다.

 

오페라 오네긴의 음악이 아닌 다른 음악으로 제작했다는 발레작품 오네긴

안무가 존 크랑코는 차이코프스키의 오페라인 예브게니 오네긴의 음악을 사용하여 발레를 제작하려 하였으나,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의 제안으로 오페라 음악 대신 또 다른 차이코프스키의 음악들인 사계, 녹턴 4번,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 등을 사용하고 또 차이코프스키의 오페라 체레비츠키 등에서 음악을 사용해 오네긴을 제작했다.

 

잘못된 선택, 뒤늦은 후회와 사랑 오네긴의 이야기

발레작품 오네긴에는 오네긴, 오네긴에게 첫눈에 반한 타티아나, 타티아나의 여동생 올가, 자매(타티아나, 올가)의 엄마 라리나, 올가의 약혼자이자 오네긴의 친구 렌스키, 타티아나와 결혼하게 될 그레민 공작이 등장한다.

 

1막 1장 라리나 부인의 정원

라리나 부인과 올가, 그리고 유모는 다가오는 타티아나의 생일을 위해 생일파티 드레스를 바느질한다. 타티아나는 연애소설을 읽느라 바쁘지만 올가와 마을 친구들은 함께 춤추며 놀고 있다. 올가와 친구들은 거울점을 보려고 한다. 올가는 언니에게 같이 보자고 하지만 타티아나는 관심이 없다. 차례가 다가와 올가가 거울점을 보려고 하는데, 올가의 약혼자 렌스키가 나타난다. 렌스키는 오네긴과 함께 방문했는데 오네긴은 자신이 살던 상트 페테르부르크를 떠나 임종이 다가오는 삼촌의 유산을 받기 위해 시골로 내려오게 된다. 그때 마침 거울점에 관심이 생긴 타티아나가 거울점을 보려는 그 순간 타티아나의 거울에 오네긴이 나타난다. 오네긴의 모습을 보고 타티아나는 첫눈에 반한다. 그렇게 4명의 연인은 서로의 시간을 보내게 된다.

 

1막 2장

그렇게 오네긴과 헤어지고 그날 밤, 타티아나는 오네긴을 짝사랑하게 된다. 타티아나는 마음을 전하기 위해 그에게 편지를 쓴다. 편지를 쓰다 잠든 타티아나의 꿈에 거울 속 운명의 상대인 오네긴이 나타난다. 잠에서 깨어난 타티아나는 꿈속에서 너무나 따뜻했던 오네긴을 떠올린다. 그녀는 오네긴에게 편지를 마저 쓰고 유모에게 전달을 부탁한다.

- 거울점의 운명처럼 2장에서의 오네긴 역시 거울 속에 등장하지만 이것이 타티아나의 꿈이란 것을 떠올린다면 그 뒤를 예상해 볼 수 있다.

 

2막 타티아나의 생일날

라리나 부인과 올가, 렌스키 등 마을 사람들이 모여 다 같이 춤을 추며 축하파티를 즐긴다. 그런데 그때 타티아나가 그렇게 기다려왔던 오네긴도 등장한다. 하지만 도시에서 파티를 즐기던 오만한 오네긴은 시골에서 열리는 파티가 지루하게만 느껴진다. 그렇게 혼자서 카드게임을 하던 오네긴은 타티아나의 편지를 발견하는데, 타티아나의 앞에서 편지를 찢어버린다.

그 모습을 보고 타티아나는 충격을 받았다. 그리고 잠시 후 그레민 공작이 생일파티에 등장하며 타티아나와 인사를 한다. 기회주의자였던 오네긴은 높은 신분인 그레민 공작에게 인사를 한다. 그레민 공자과 타티아나가 서로 시간을 보내자 오네긴은 그녀의 동생 올가에게 접근한다. 그 모습에 렌스키는 분노하고 오네긴의 뺨을 때리고 그에게 결투를 신청한다.

결국 결투를 하게 된 렌스키와 오네긴을 타티아나와 올가가 급하게 따라간다. 하지만 이제 렌스키도 무엇을 위해 싸우는지 모른다. 그렇게 둘의 결투에서 렌스키는 죽게 된다. 그 모습을 보고 타티아나는 분노하고 오네긴은 친구를 죽인 죄책감에 빠진다.

 

3막 상트 페테르부르크

몇 년의 시간이 흐른 뒤 오네긴은 오랜 여행 끝에 상트 페테르부르크로 돌아오게 되고 그레민 공작의 무도회에 초대받게 된다. 그곳에서 그레민 공작의 부인이 된 타티아나를 만나게 된다. 그녀 역시 오네긴을 의식하지만 그녀는 이미 그레민 공작과 다정한 부부가 되었다. 그렇게 무도회장에서 오네긴은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깨닫는다. 어느 편지를 받게 된 타티아나는 오네긴이 자신을 잊지 못한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다. 그리고 그녀의 거울 속에 그레민이 등장한다. 타티아나는 그레민에게 오늘 저녁 자신을 혼자 두지 말라고 부탁하지만 그레민은 어쩔 수 없이 잠시 집을 비우게 된다. 그리고 그녀의 안방까지 오네긴은 찾아와 매달린다. 타티아나가 오네긴을 거절하며 끝이 난다. 

 

발레작품 오네긴의 2막과 3막에서 파티장면이 등장하지만 차이점이 있다. 2막에서는 목가적인 느낌을 주는 마주르카를 추고 3막 상트 페테르부르크 장면에서는 도시적인 느낌을 주는 폴로네이즈를 배치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