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3. 2. 7. 01:59

발레블랑의 정석 백조의 호수 Swan Lake

반응형

발레블랑 Ballet Blanc

발레블랑(Ballet Blanc)은 낭만발레 때 나온 발레용어로 '하얀 발레'를 뜻하며, 하얀 모슬린 천으로 만든 로맨틱 튀튀(Romantic tutu)를 입은 여러 명의 발레리나들이 춤을 추는 장면에서 '발레블랑'이라는 발레용어가 탄생했다. 발레블랑을 대표하는 춤과 장면은 지젤 2막 '윌리들의 춤', 라 바야데르 3막 '망령들의 군무', 백조의 호수 2막과 4막에서의 군무, 라실피드, 레실피드 등이 있다. 우리는 이 중 하나인 <백조의 호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똑같은 얼굴을 가진 두 여자와 지크프리트 왕자의 사랑이야기

러시아와 독일의 민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백조의 호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작곡가인 '차이코프스키'의 음악과 라이징거의 안무로 시작되었다. 이후 다양한 버전들이 나왔고 결말도 다르다.

 

등장인물 : 왕자 지크프리트, 저주에 걸린 공주이자 백조 '오데트', 로트바르트의 딸이자 흑조 '오딜', 사악한 마법사 '로트바르트'

 

왕자 지크프리트는 저주에 걸린 오데트에게 사랑을 맹세하려 했으나 로트바르트의 딸인 오딜을 그녀로 착각해 오데트는 저주에서 풀리지 못하게 되는 상황에 처한다.

사악한 마법사 로트바르트가 공주 오데트에게 낮에는 백조, 밤에는 인간이 되는 저주를 건다. 이 저주는 영원한 사랑으로 풀릴 수 있지만 사랑의 약속이 깨지면 영원히 백조로 남게 된다.

 

1막

왕자 지크프리트의 성년식, 왕자의 어머니인 왕비는 다음 저녁에 열리는 왕실무도회에서 약혼자를 구해야 한다고 말하지만 결혼보다는 사랑을 하고 싶었던 지크프리트는 기분전환을 하기 위해 석궁을 들고 친구들과 함께 사냥을 나선다.

 

2막 호숫가

혼자 떨어지게 된 지크프리트 밤이 되자 지크프리트는 호수에서 인간이 된 오데트를 발견하게 된다. 오데트는 자기와 친구들을 사냥하지 말라고 애원한다. 그리고 자신이 백조들의 여왕인 것을 말하고 이 저주는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만이 풀 수 있다고 말한다.

 

3막 왕실 무도회장

왕실무도회에서 각 나라의 공주들이 등장하고 신부가 되기 위해 왕자에게 인사를 한다.

그러나 지크프리트의 마음은 오데트뿐이다.

그때 사악한 마법사 로트바르트와 그의 딸 오딜이 등장한다.

오딜은 오데트와 색은 다르지만 똑같은 모습을 하고 나타난다. 오딜을 오데트로 착각한 왕자는 그녀와 춤을 춘다.

그리고 그녀에게 사랑을 맹세하지만 오데트의 환영이 나타나게 되고 왕자는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호숫가로 달려간다.

 

4막

호숫가에 도착한 왕자는 오딜을 오데트로 착각했고 자신의 사랑은 오데트뿐이라고 해명한다.

(버전에 따라 해피엔딩, 새드엔딩 등 다양한 엔딩으로 막이 내린다. 이 중 대표적인 결말 4가지에 대해 알아보자.)
첫 번째 엔딩,  로트바르트와 왕자가 결투를 하고 왕자가 로트바르트를 무찌르면서 저주는 사라지고 백조들은 모두 사람으로 변하며 둘은 행복한 결말을 맞는다.

두 번째 엔딩, 왕자의 잘못된 맹세로 인하여 오데트의 저주는 영원히 풀 수 없게 되었고 오데트와 왕자는 결국 호숫가에 뛰어들어 자살한다. 그러나 이 행동으로 인해 저주가 풀리게 되면서 로트바르트 역시 죽게 된다.

세 번째 엔딩, 아무도 죽지 않고 오데트는 영원히 백조로 남는다.

네 번째 엔딩, 오데트는 결국 자살하고 왕자는 혼자서 슬퍼한다.

발레리나가 아닌 발레리노만 나오는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

보통 <백조의 호수>하면 수십 명의 발레리나들이 함께하는 군무를 떠올리겠지만, 영화 '빌리 엘리어트'를 본 사람들은 발레리노들이 출연한 <매튜 본의 백조의 호수>를 떠올리기도 할 것이다. 80년대 탄광파업이 한창이던 탄광촌을 배경으로 한다. 영화 주인공인 '빌리'는 가난한 집안의 아들로 아버지뿐만 아니라 어른들 대부분 발레는 여자가 하는 것이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빌리의 아버지는 아들의 재능을 발견하고 빌리의 꿈을 지지해 주고 이를 위해 희생하는 아버지의 부성애도 느낄 수 있다. 이후 빌리는 발레리노가 되어 <백조의 호수> 공연을 앞두고 긴장하는 모습이 나온다. 그리고 높이 도약하는 빌리의 모습으로 끝이 난다. 

이 영화는 영국의 로열발레단 '필립 모슬리'의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고 뮤지컬로도 만들어져 공연되고 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